사상체질의학/사상체질건강법

육음, 칠정과 사상의학의 애노희락의 관계...한방건강TV제공

우리들한의원 2013. 3. 11. 13:53

육기(六氣) , 육음(六淫)- 풍(風)한(寒) 서(暑) () 조(操) 화(火)


육음(six excesses)칠정(seven emotions)사상-우리들한의원 김수범 한방건강TV제공


 


 

육기(六氣),육음(六淫)는풍(風), 한(寒) 서(暑) () 조(操) 화(火)를 말하는 것이다.


육기(六氣) 는 자연기상변화의 정상적인 현상을  말한다.

육음(六淫) 는 기후변화의 과도나 부족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풍(風)-바람


봄의 주기(主氣), 풍사(風邪)는 봄에 많다.

풍(風)은 백병(百病)의 장(長)이다.


상풍(傷風): 바람에 상하는것이다. 감기.독감

해수(咳嗽), 두통, 코막힘, 재채기, 콧물 등이다.

발열(發熱)오한(惡寒), 한출(寒出), 두통, 맥(脈)부완(浮緩)


내풍(內風)은 외부의 바람이 아닌 내부의 과로 스트레스등으로 인하여 온다.

 

중풍(中風), 현훈, 경련, 마비, 구안와사 , 각궁반장(角弓反張)

수족(手足)탄(癱瘓), 풍비(風痹), 역절풍(歷節風)



 

한(寒)-추위


겨울의 주기(主氣)이다.

오한(惡寒)발열(發熱), 무한(無汗), 천식, 두통, 체통(體痛), 맥 부긴(浮緊)의 증세가 나타난다.


경락의 가지인 락()에 들어가면 근,골격통증,

장부(臟腑)에 들어가면 - 구토,설사,복통,


상한(傷寒)-외부의 한기에 침입을 당하여 병이 진행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태양증, 소양증, 양명증, 태음증, 소음증, 궐음증

반표반리, 결흉, 발광 섬어 장결(臟結), 비기(痞氣)


서(暑)-더위


여름의 주기(主氣),

열병(熱病), 하지(夏至)전의 병은 온병(溫病), 하지후의 병은 서병(暑病)이라고 했다.


증세-두통, 신열(身熱), 구갈(口渴), 심번(心煩), 자한(自汗),  홍삭(洪數)


더위에 오래 일하거나 뜨거운곳에 여행시에 발생


서(暑)와 (): 이급후중(裏急後重), 이질(痢疾)  

중서(中暑), 서체(暑滯), 번갈(煩渴), 토사(吐瀉)



 


()-습기


장마철인 장하(長夏)의 주기(主氣),

습이 많은 곳, 비에 젖거나, 습지에서 생활시에 생김


()이 상(上)에 있으면  두중(頭重), 비색(鼻塞)

습이 하(下)에 있으면  발가락 부종, 대하, 낭습,

습이 표(表)에 있으면 한열(寒熱)자한(自汗), 신체피곤

습이 이(裏)에 있으면 흉통, 구토, 복인통(腹引痛)


습사(濕邪)가 표(表)에 있으면 경락(經絡)의 병이 많다.


이(裏)에 있으면 장부(臟腑)의 병이 많다.

중습(中濕), 풍습, 한습, 습비(濕庳), 습열 습온(濕溫) 주습(酒濕), 파상습(破傷濕)


조(操)-건조


가을의 주기(主氣),


량조(凉燥)하면  미두통(微頭痛), 오한, 해수, 무한(無汗), 비색(鼻塞)

온조(溫燥)하면  신열(身熱), 유한(有汗), 구갈(口渴), 인통(咽痛), 흉통, 담혈(淡血), 상기(上氣)비건(鼻乾),  

= 혈이 부족하여 나타남



 


화(火)-불


열(熱)이 심하면 화(火)가 된다.  다양한 화의 종류


화(火)는 강하여 장부를 태우고 진액을 소모한다.

장열(壯熱), 심번(心煩), 구갈(口渴), 인통(咽痛), 면적목홍(面赤目紅)

군화(君火) -인화(人火) 사람

상화(相火)  천화(天火)  하늘

적열(積熱), 골증열, 조열(潮熱) 허번(虛煩) , ,심비폐신열,

상초열, 중초열, 하초열,


양허(陽虛)외한(外寒), 양성(陽盛)외열(外熱)

음허(陰虛)내열(內熱), 음성(陰盛)내한(內寒)

음주(飮酒)발열(發熱) 체혈(滯血)발열(發熱)

음허화동(陰虛火動) 상열하한(上熱下寒)

 

칠정(七情)  ()노(怒)우(憂)사(思)비(悲)공(恐)경(驚)



칠정(七情)은 ()노(怒)우(憂)사(思)비(悲)공(恐)경(驚)을 말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노(怒)-기(氣)가 상(上)하고,()-완(), 우(憂)-사(思)-결(結),  비(悲)-소(消),공(恐)-하(下) 경(驚)-란(亂)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심상(心傷), 노(怒)-간(肝) 우(憂)-폐(肺), 사(思)-비(脾)비(悲)공(恐)-신(腎), 경(驚)   


 



()-기쁨


영(營)과 위(衛)가 순조로와 건강무병의 상태이다.


갑작스런 ()는 양기(陽氣)를 상한다. 심을 상한다.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

희가 과도하면 신기(神氣)를 소모 분산시켜 심신(心神)을 불안케한다.


폐는 희락(喜樂)이 극에 이르면 백(魄)을 상한다.

희가 마음에서 생겨서 폐에도 영향을 준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하면 기가 완()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하면 심을 상(心傷)한다.



 

노(怒)-성냄 , 분노


소문(素問) 사시자역종론(四時刺逆從論)

혈기(血氣)역상(逆上)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잘 노하게 한다.


폭노(暴怒)는 음(陰)을 상한다.  -토혈, 구토


소문(素問) 조경론(調經論)

혈이 유여(有餘)하면 노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폭노(暴怒)는 음(陰)을 상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노(怒)하면 기(氣)가 상(上)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노(怒)-간(肝),=> 비토(脾土)를 상하여 다른 사장(四臟)에도 영향


우(憂)-근심


침울하고 근심이 많은 것


폐에서 걱정이 생기고 걱정하면 기운(氣運)이 침(沈가라앉다)한다.


근심과 걱정이 풀리지 않으면 의(意), 비(脾)를 상한다.


근심걱정하면 기가 폐색(閉塞)하니 양기(陽氣)가 막혀서 상하가 통하지 않으면 대소변이 막힌다.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

우수(憂愁)란 기(氣)가 폐색(閉塞)하여 행(行)하지 않는것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우(憂)는 폐(肺)를 상하게 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우(憂)-사(思)하면 기가 결(結)한다.



 


사(思)-생각


정신을 집중하여 생각하는것이다.

비(脾)에서 생각이 생기고 심하면 기운이 맺힌다.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

지(志)로 인하여 변화가 있게 하는것을 사(思)라고 한다.


사려(思慮)는 정신에 의하여 지지(支持) 되어야 한다.

사려가 과도하면 정신이 일정한 영향을 받아 의지(意志)도  착란(錯亂)한다.


사려의 과도는 비(脾)를 상하게 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우(憂)-사(思)하면 기가 결(結)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사(思)하면 비(脾)를 상한다.


비(悲)-슬픔


슬픔, 번뇌, 고통으로 슬퍼하는것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

심기(心氣)가 허하면 비(悲)하고, 정기가 폐에 합쳐져서 비(悲)한다.


소문(素問) 선명오기론(宣明五氣論)

간이 허하여 정기(精氣)가 폐에 합하면 비(悲)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슬퍼하면 심(心)이 조여들고 폐(肺)가 넓어져올라가고 상초의 기가 통하지않는다- 비애(悲哀)의 과도가 내장을 상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비(悲)하면 기가 소(消)한다. 

 


 


공(恐)-공포


공포의 의미, 정신이 극도로 긴장해서 나타나는 공포심

                                  

영추(靈樞)  본신편(本神篇)

신상(神傷)하면 공구(恐懼)자실(自失)한다.


영추(靈樞) 경맥론(經脈論)

신기(腎氣)가 부족하면 항상 공(恐)한다.


소문(素問) 조경론(調經論)

혈이 부족하면 공(恐)한다.


소문(素問)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공(恐)은 신(腎)을 상하게 한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공(恐)하면 기가 하(下)한다.  


경(驚)-놀랜다


불의의 비상상태를 만나 놀라는것

마음이 갑자기 동(動)하여 편하지 못한 증이다.


유문사친(儒門事親)

경(驚)이란 스스로 알지 못하는것, 공(恐)이란 스스로 아는것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놀라면 심(心)은 기댈곳이 없고, 신(神)은 돌아갈곳이 없고, ()는 정한것이 없다 고로 기는 란(亂)해진다.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애노희락(哀怒喜樂)


 


성(性)의 애노희락


이목비구(耳目鼻口)가 천기(天機)을 관찰하며 나타나는 천성(天性)

순동(順動)의 기- 애노(哀怒)의 기는 발월(發越)이(而) 상등(上騰)

                        희락(喜樂)의 기는 완안(緩安)이 하타()


기가 극(極)에 달하면 정(情)을 동(動)함 , 역동(逆動)의기


애성(哀性)극하면 노정(怒情)동(動), 노성(怒性)극즉 애정(哀情)동,

희성(喜性)극즉 락정(樂情)동, 락성(樂性)극즉 희정(喜情)동

 

정(情)의 애노희락


촉급한성질, 폐비간신이 인사(人事)를 행할때 나타나는 감정


정(情)이 기(氣)로써 작용할 때 역동(逆動)하기 쉽다.


애노(哀怒)지기가 역동해 폭발하면 함께 위로 올라 간신(肝腎)상(傷)

희락(喜樂)지기가 역동해 랑발(浪發물결)하면 함께 내려가 비폐(脾肺)상


사상체질(四象體質)과 애노희락(哀怒喜樂)과 장부대소



 


태양인(太陽人)


애성(哀性)원산(遠散)하여 기주폐(氣注肺)하여 폐(肺)익성(益盛)-폐대

노정(怒情)촉급(促急)하여 기격간(氣激肝)하여 간익삭(肝益削깍을삭)간소


애성(哀性)은 천시(天時)에서 이(耳)가 중인(衆人)이 상기(相欺속일)하는 것을 슬퍼하니,이성은 청(聽)이다.


노정(怒情)은 비(脾)가 교우(交遇를 행할때 별인(別人)이 모기(侮己업신)하는것을노하는 것이니 노정은 바로 노(怒)이다.


소양인(少陽人)


노성(怒性)굉포(宏抱크게포용) 기주비(氣注脾) 비익성(脾益盛) 비대

애정(哀情)촉급(促急) 기(氣)격신(腎) 하여 신(腎)익삭(削) 신소


노성(怒性)은 세회(世會)에서 중인(衆人)이 상모(相侮)하는 것을 노하는 것이니 노성은 바로 시(視)이다.


애정(哀情)  폐가 사무(事務)를 행할때 별인(別人)이 기기(欺己) 자기를 속이는 것을 애(哀)하는 것이이 애정은 바로 애(哀)이다.



 


태음인(太陰人)


희성(喜性)광창(廣脹)즉 기주간(氣注肝) 간(肝)익성(益盛), 간대

락정(樂情)촉급즉 기격(氣激)폐, 폐(肺)익삭(益削)- 폐소


희성(喜性)은 비(鼻)가 인륜(人倫)을 볼때 중인(衆人)이 상조(相助도움)하는 것을 즐거워 하는 것이니 희성은 바로 ()이다.


락정(樂情)은 신(腎)이 거처(居處)를 행할때 별인(別人)이 보기(保己보호)하는 것을 즐거워하는 것이니 락정은 바로 (樂)이다



 


소음인(少陰人)


락성(樂性)심확(深確깊고확실)즉 기주신(氣注腎) 신익성(腎益盛)신대

희정(喜情)촉급즉 기격(氣激)비(脾), 비익삭(脾益削)-비소


락성(樂性)은 구(口)가 지방(地方)을 관찰할 때 중인(衆人)이 상보(相保보호)하는 것을 즐거워 하는 것이니 락성은 바로 미(味)이다.


희정(喜情)은 간이 당여(黨與)을 행할때 별인(別人)이 조기(助己)하는 것을 ()하는 것으로 희정은 바로 () 이다.

 

소문(素問) 거통론(擧痛論)

경(驚)하면 기가 란(亂)한다. 

 

자신과 비슷한 사진을 누르면 자신의 사상체질을 알수 있습니다.^__^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

www.wooree.com      www.iwooridul.com

 

안드로이트폰 무료앱다운로드

우리들한의원QR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