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체질의학/사상체질건강법

육부(六腑)와 사상의학의 사부란-한방건강TV

우리들한의원 2013. 2. 9. 16:58

 

육부(六腑)와 사상의학의 사부란



육부(six-bowels)사상체질(sasang medicine)-우리들한의원 김수범 한방건강TV제공


 


흔히들 오장 육부라는 말을 한다, 놀부는 심술보가 하나  더있어 육장육부라는 말도 있다.

육부는 담, , 대장, 소장, 삼초. 방광을 말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소화하고 , 흡수하고, 저장하고 배설하는 전 과정을 육부에서 맡고 있다. 음식물이 소화 흡수되어 나오는 것은 기혈,진액, 영혈 등의 우리몸에 필요한 중요한 성분들이다. 



 


담(膽)


담은 간의 아래에 붙어있는 기관으로 담낭이라고 한다. 많이 알려져 있기는 웅담이다. 곰의 담낭으로 웅담은 간을 치료하는데 효과있는 성분이 알려져 있다. 


담은 중정(中正)의 기관으로 결단(決斷)을 주관한다고 하였다. 즉 중정은 치우치지않고 정확하게 결단하거나 생각을 결정하는 의미를  말한다.  다른 육부는  음식물이 통과하나 담낭은 음식물이 통과되지 않으면서 청정의 액인 담즙만 을 만들어 배설한다. 또 담은 무엇을 기획하고 결단을 내리는 역할이다. 

일상에 쓰는 말중에 담력이 크고 용기가 많은 사람을 대담하다라고 표현하거나, 무엇에 놀랬을때에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담은 담즙액을 분비하여 지방성분을 분해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담석증 등으로 담낭을 떼어낸 경우에 담즙의 배설이 안되어 변이 푸르며 지방성분을 먹으면 그대로 배설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담석증이 많이 생기는 경우는 화나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는 경우에 화병과 같이 오는 경우도 많다. 

간(肝)과의 관계는 간의 기획하는 모려(謀慮)기능과 담의 판단을 하고 결정하는 결단(決斷)의 기능이 있어 서로 도와주는 관계다. 


위(胃)


위는 바로 위장이다. 음식물은 가장 먼저 흡수하는 기관으로  한의학에서는 수곡(水穀음식물)의 바다(海)로써, 수곡을
부숙(腐熟)한다고 하였다. 즉  음식물을 소화시켜서 음식물의 정기를 형성하고 숙성시키며, 오장육부에 영양을 공금
하는 원천이다. 신(腎)은 선천의  타고나는 근본(根) 며 비위(脾胃)는 후천적으로 근본(本)이 된다고 하였다. 

위(胃)는 비(脾)장과 표리의 관계다. 위는 음식물을 담아두고 섞어서 소화가 잘 되게 하며, 비장에서는 소화액을 분비
하여 흡수하며 음식물의 영양분이 온몸에 다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음식물에서 만들어진 정기와 진액, 영양분을 공급
하는 역할이다. 
만일 위장의 기능이 안되어 위기가 못 내려가서 위로 거슬러 올라가면 구토(嘔吐)다. 또 비장의 기운이 작용을 하지 

않아서 소화 흡수를  못한다면 음식물이 그대로 배설되는 설사(泄瀉)가 된다. 



소장(小腸) 


소장은 위장에서 섞고 비장에서 소화액을 분비하어 우리 몸에 흡수되기 편해진 것을 분류하여 흡수하는 것이다. 
가장 긴 기관으로 분해되고 소화액과 섞여서 내려가면서 음식물을 흡수하여 간과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음식물의 성분을 분류하여 맑은 기운은 수액성분으로 방광으로 내보내고, 나머지 찌거기는 대장으로 내보낸다.  소장에서 음식물이 청탁으로 구별되지 않으면 설사를 하고 소변의 배설이 안된다. 

소장은 심(心)장과 표리의 관계가 된다.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소장에서 영양분이 흡수되어 간을 거쳐 심장으로 들어가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며 다시 소장으로 들어가 영양을 흡수한다. 심과 소장은 상호작용을 하며  심장에 열(熱)이 있으면 소장에서 영양의 흡수가 강력하여 소장에 긴장이 되며 소변에서 출혈이 나타난다.  


대장(大腸)


대장은 음식물이 소화흡수되고 남는 찌거기인 조박(糟粕)을 모아서 항문을 통하여 배출하는 기관이다. 폐는 전도(傳導)의 관(官)으로 변화(變化)가 나타난다고 하여 변화되고 남을 찌거기를 다른 형태로 배설을 하는것이다. 


대장은 폐(肺)와 표리의 관계가 된다. 대장의 에서 배설이 안되어 변비가 되고  막히면 열이 위로 올라가 폐에 영향을 주어 숨이 가쁘고 호흡이 잘 안된다.  또 폐기관지에서 발산하여 호흡이 잘 안되면 밖으로 배설이 안되어 대장에서는 변비나 설사증세가 나타난다. 

 





방광(膀胱)


 

방광은 진액(津液)을 저장하는곳이라고 하엿다. 우리 몸에서 진액의 성분이 혈액이나 영양분으로 쓰여지고 남은 수분은 전신을 돌다가 신장에서 걸러져 나와서 방광에 쌓이게 된다. 또 소장에서 음식물이 흡수되어 맑은것이 모아져서 방광으로 온다. 

진액은 소변과 땀, 세포외액 등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여름철에 땀이 많이나면 상대적으로 소변이 줄어든다. 또 겨울철에 추워서 땀이 안나면 상대적으로 소변의 배설이 많아진다. 우리 몸 안의 진액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한쪽이 많으면 다른 쪽은 적어지는 것이다.

방광은 신장과 표리의 관계다. 신장에서 혈액중에 필요없는 성분을 걸러내어서 방광으로 보내어 체외로 배설을 한다. 신장에서 걸르는 작용이 안되면 소변이 잘 안나오고. 방광에서 체외로 배설이 안되면 거꾸로 신장에도 영향을 주어 신장의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삼초(三焦)


한의학에는 삼초라는 부가 있다. 형태는 없으면서 작용만을 나타낸다. 몸을 상초, 중초, 하초를 나누어서 몸을 순환되게 따뜻하게 태워주는 것이다. 아마 보이지 않으면서 작용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호르몬의 기능과 비슷하다.  


상초(上焦)는 혀밑에서 부터 위(胃)장의 윗부분에 속하는 부분이다.  흉부로써  심폐(心肺)가 해당된다. 기(氣)혈(血)진액(津液)을 전신에 골고루 순환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특징을 무(霧)라고 하여 안개와 같다고 하였다. 몸안에서 음식물과 공기를 받아들여 기와 혈을 만들어 전신에 분포하며 피부와 말초에 까지 이르게 한다. 


중초(中焦)는 위(胃)장의 윗부분에서 위장의 아랫부분까지에 속하는 부분이다.  상복부로써 비장과 위장이 있으며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을 섭취하는 작용을 한다. 

특징은 (漚)라고 하여  물거품과  같다고 하였다. 몸안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소화 흡수하고 기, 혈, 진액 등의 영양성분으로 만드는 작용이다. 


하초(下焦)는 위(胃)장의 아랫부분에서 음낭과 항문의 부위까지를 말한다.  하복부로써 간(肝) 신(腎) 대장(大腸),소장(小腸), 방광(膀胱)이  포함되며 흡수와 배설의 작용을 한다. 

특징은 독(瀆)이라고 하여 도랑과 같다고 하였다.  몸안에 들어온 음식물을 소화 흡수하여 영양성분을 모두 활용을 하고 남은 성분들을 모아서 배설하는 작용이다. 

    

삼초는 심포락(心包絡)과 표리관계이다.  삼초는 전신에서 오장육부의 밖을 지키는 작용을 하며, 심포락은 심장의 밖을 지키면서 혈액이 전신에 잘 돌게 도와준다. 




기항(奇恒)의 부(腑)


기항의 부는 일반장부와 다른 이상한 부(腑)를 말한다. 형태는 부(腑)를 닮았으나 작용은 장(臟)과 같은 작용을 하는것이 많다. 뇌(腦), 골수(髓), 뼈,골(骨), 혈맥(脈), 담낭(膽), 여자포(女子胞 자궁 )등을 말한다. 


이중에 설명이 안된것은 .뇌(腦)와 골수(髓)다. 한의학에서 신(腎)장은 골수(骨髓)를 만들고, 뇌(腦)는 골수(髓)가 모여진 곳이라고 하였다.  뇌와 뇌수에 영양의 공급은 선천적인 정기와 후천적인 음식물의 정기가 합쳐져서 공급을 한다. 신장의 기능이 약해지면 뇌(腦)에 영향을 주어  눈, 귀의 기능이 떨어지고 마리가 맑지 못하며 전신에 영향을 준다. 

또 뇌와 골수가 강해지면 뼈와 신장도 강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자포(女子胞)는 자궁을 말한다. 자궁에서 월경이 생기며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의 기혈이 충분하게 넘치면 월경이  시작을 하며, 정자를 만나 수정이 되어 수태(受胎)가 되면 태아를 보호하고 기르는 역할을 한다.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사초(四焦)와 사부(四腑)

 

기존의 한의학에서는 삼초(三焦)로써 순환을 설명하였다면 사상의학에서는 사초(四焦)로써 설명을 하였다.
기존한의학에서는 간심비폐신(肝心脾肺腎)의 오장(五臟)기능(機能)계(系)와 삼초(三焦)명문(命門)심포(心包)의 협조
관계로 분화하여 유지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삼초(三焦)는 호르몬과 같은 상화(相火)의 쓰임으로 전신의 변화하고 생
성되는 공간의 의미를 갖고 있다. 삼초(三焦)가 생성하고 변화하는 기능은 수분(水液)대사(代謝)조절로 전신의 생리
기능조절에 관련된 협조관계이다.


사상의학의  사초(四焦)도 생성하고 변화하는 기능을 한다. 사초는 체형과 체질을 진단하기 위한 개념이다.  심신(心身)을 사상구조적 요소로 나누어서 상하,음양적 편차와 대립적인 기의 오르고 내림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초의 특징은 사장(四臟)과 사부(四腑)의 기능과 해부학적 부위가 동일한 초(焦)란 틀안에서 수평적 표리관계(위완,,-직이신(直而伸))와 상, 중상, 중하, 하초간의 초와 초사이의 수직적 상하관계로 규정지을 수 있다.




사초의 부위


사초(四焦)부위(部位)는 삼초보다는 확실한 구분이 있다

상초는 폐와 위완(식도)부위로써  턱아래와 앞이마의 머리카락이 난부위부터 시작하여 등과 흉부의 위쪽이다.

중상초는 비장, 위가 있는 부위로써 흉부와  흉추부부를 말한다. 

중하초는 , 소장이 있는 부위로써 허리와 복부, 요추부를 말한다. 

하초는 신장, 대장이 있는 부위로써 허리아래, 아랫배, 천골부위를 말한다. 


음식의 흡수와 분화


음식물이 소화흡수되어 전신에 음양과 상하, 승강의 원리에 의하여 분화되어 전신에 영양을 공급함을 나타낸다. 


음식물이 흡수되어 위(胃)에 들어가 뜨거운 열기(熱氣)가 생성되고 소장에서는 시원한 량기(凉氣)가 생성된다. 

다시 위장의 열기중에  가볍고 맑은 기운은 위완(胃脘식도)로 상승하여 따듯한 온기(溫氣)형성이 된다. 

다시 소장의 량기의 무거운 기운은 대장(大腸)으로 하강하여 찬 한기(寒氣)형성이 된다. 



위완, ,소장,대장(胃脘胃小腸大腸)의 기


위완(胃脘)은 코와 입으로 통하고 있어 위에서 형성된 열기를 상승(上升)하게 하여 온기(溫氣)가 되게 한다.

위(胃)는 형체가 광대하고 포용할 수 있어서 음식물의 기운을 저장하고 쌓아서 훈증(薰蒸)시켜 열기(熱氣)가 되게한다..

소장(小腸)은 모양이 좁고 꾸불꾸불하여 음식물의 기운은 소화흡수하여 담백하게 만들어 량기(凉氣)가 되게 한다.

대장(大腸)은 항문과 통하여 소장에서 형성된 시원한 량기(凉氣)를 하강(下降)하게 하여 찬 한기(寒氣)가 되게 한다. 


음식물이 흡수되어 온,열,량,한한 기가 사초의 부위에서 흡수되어 우리몸에 퍼져나가는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쓰여진 단어가 쉽지가 않아 이해하는데 어려운 면이 있다. 


폐당(肺黨)-폐(肺) ,위완(胃脘)


폐당에은 위완(胃脘), 두뇌(頭腦), 설(舌), 이(耳), 피모(皮毛)이 포함이 된다. 

폐기는 곧바로 올라가며 상승(上升)하는 기다. 기와 액체성분을 밖으로 내뿜는 작용을 하는 기운이다. 


위완에 만들어진 음식물의 온기(溫氣)는 진(津)으로 변화하여 설하(舌下)로 들어가 진액(津液)이 된다.

진액의 가볍고 맑은 경청(輕淸)한 기운은 귀로 나와 신(神)이 되고 두뇌로 들어가 이해(膩海) 가 된다. 

이해(膩海)의 맑은 즙인 청즙(凊汁)은 페의 근원을 돕고

이해(膩海)의 탁한 찌거기인 탁재(濁滓)는 안으로 위완을 돕고 피모(皮毛)를 형성한다. 




비당(脾黨)-비(脾), 위(胃)


비당에는 위, 양유방(兩乳), 목(目), 등골,흉부(背膂), 근(筋)이 포함된다.

비기(脾氣)는 단단하게 포용하고, 머물게 하여 쌓아두는 기이다. 음식물을 받아서 쌓는 기능을 한다. 


위(胃)에서 만들어지 음식물 열기(熱氣)가 고(膏)로 변화하여 양유방(兩乳)으 들어가 고해(膏海)가 된다.

고해의 청정한 기운은 눈으로 나와서 기(氣)가 되고 등골로 들어가 막해(膜海)가 된다.

막해의 맑은 청즙(凊汁)은 안으로 비(脾)의 근원을 돕고

막해의 탁한 찌거기는 안으로  위(胃)를 돕고 밖으로 근(筋)을 형성한다


간당(肝黨)- 간(肝), 소장(小腸)


간당에는 소장(小腸), 배꼽(臍). 비(鼻),  허리(腰脊), 육(肉)이 포함된다.

간기(肝氣)는 너그러우며 느슨한 기운이다.  기와 액체성분을 흡수하여 모은 는 작용을 하는 기운이다.

소장에서 음식물의 시원한 량기(凉氣)가 유(油)로 변화하여 배꼽으로 들어가 유해(油海)가 된다.

유해의 가볍고 맑은 경청(輕淸)한 기운은 코로 나와서 혈(血)이 되고 허리로 들어가 혈해(血海)가 된다.

혈해의 맑은 청즙(凊汁)은 안으로 간(肝)의 근원을 돕고

혈해의 탁한 찌거기(濁滓)는 안으로 소장을 돕고 밖으로 육(肉)을 형성한다.





 



신당(腎黨)- 신(腎), 대장(大腸)


신당에는 대장(大腸), 생식기인 전음(前陰) 구(口) 방광(膀胱). 골(骨)이 포함된다.

신기(腎氣)는 따듯하며 하강하며 쌓는 기운이다. 음식물을 밖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대장에서 음식물의 한기(寒氣)가 액(液)으로 변화하여 생식기(前陰)의 털난부위(毛除) 들어가 액해(液海)가 된다.

액해의 가볍고 맑은 경청(輕淸)한 기운은 입으로 나와 정(精)이 되고 방광으로 들어가 정해(精海)가 된다.

정해의 맑은 청즙(凊汁)은 안으로 신(腎)의 근원을 돕고

정해의 탁한 찌거기(濁滓)는 안으로 대장을 돕고 밖으로 골을 형성한다. 

 


자신의 사상체형,사상체질에 맞는 그림을 눌러보세요, 자세한 체질과 특성이 나옵니다.

  

사상체질(다이어트)전문 우리한의원

디스크(사상체형교정,통증)전문 우리들한의원

대한한의동통학회 회장

대표원장  김 수 범 한의학박사

안드로이트폰 무료앱다운로드

 www.wooree.com      www.iwooridul.com

우리들한의원QR코드